哪個國家的孩子最聰明?
어느 나라의 아이가 가장 ‘총명’할가요?

(자료 사진)
聰明?答案並不單一。現如今,我們傾向於認為智商測試結果並不能代表聰明,因為儘管這些測試可以很好地測量單獨智力,但IQ分數似乎無法足夠精準地預言總體智力。
총명이란 무엇일가? 총명의 기준은 하나 뿐이 아니다. 지금 우리는 지능지수(IQ) 테스트결과로 총명하다 총명하지 않다고 많이 판단한다. 비록 이런 테스트는 독립적인 지력을 잘 표현할 수 있지만 미래의 총체적인 지력까지는 정확히 계산해낼 수 없다.
還有一種測量方式被稱為“一般因素”。英國心理學家查爾斯·斯皮爾曼在1904年首次對其進行描述,它指的是一門學科學得好的兒童也傾向於學號另一門學科的現象。簡單地説,即兒童在不相關的學校測試之間的表現存在着正相關。
다른 한 가지로 '일반적 요소'라는 테스트방법이 있다. 1902년에 영국 심리학자 찰스 스피어맨이 처음으로 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방법은 아이가 한 가지 과목을 잘하는 외에 다른 과목도 다 잘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간단히 말하면 아이는 학교와 관계없는 테스트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現在,如果我們想搜索“一般因素”,就會發現有幾個國際測試蒐集了學校兒童表現的數據——通常檢查的是數學、科學、閱讀能力。其中有兩個聲譽良好的是TIMSS和PIRLS,它們均來自美國國家教育統計中心——他們將其國家4年級兒童的表現和其它53個教育體系下的同齡人表現進行評估比較。
지금, 우리가 만약 '일반적 요소'를 검색해보면 세계적인 테스트로 수집된 학교아동 관련 표현수치를 몇 개 볼 수 있다. 보통 수학, 과학, 열독능력 등에 대해 테스트한 것이다. 그중 성망이 좋은 두 가지 테스트는 TIMSS와 PIRLS이다. 이 두 개 테스트는 모두 미국국가교육통계중심에서 나온 것인데, 미국 4학년 학생들의 표현과 기타 53개 부동한 교육체계 하의 또래 학생들의 표현을 비교, 평가한 것이다.
另一個常被引用的負有盛名的比較體系是PISA,它測量的是“65個國家和經濟體下的15歲少年的閱讀、數學、科學能力”,代表了世界上超過80%的經濟體。研究人員發現,這些國際比較體系能夠很好地測量一般因素,因此如果我們希望尋找聰明兒童,這將是個不錯的選擇。那麼,研究究竟結果如何?
PISA도 많이 사용되고 성망이 있는 비교체계이다. PISA는 "65개 나라와 경제체 하의 15살 소년들의 열독, 수학 , 과학능력”을 테스트한 것인데, 전 세계 80% 넘는 경제체를 대표하였다. 연구자들의 발견에 따르면 국제체계 사이의 비교는 일반 요소를 잘 테스트할 수 있으며, 만약에 총명한 아이를 찾으려면 이것은 좋은 선택일 수 있다. 그럼 연구결과는 도대체 어떠할가?
根據2012年的最新PISA,中國上海的學生全部表現都是最好的,其數學、閱讀、科學的分數均高於經合組織平均分。另外,新加坡、中國香港、日本、韓國、芬蘭的孩子也超級聰明。同時,如果你將TIMSS和PIRLS的分數加起來(最新數據是2011年),那麼則由新加坡問鼎冠軍,緊隨其後的是香港、中國&&、芬蘭。
2012년의 최신 PISA결과, 중국 상하이(上海) 학생들의 표현이 가장 좋았다. 특히 수학, 열독, 과학 점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 소속 나라의 평균점수 보다 높았다. 그리고 싱가포르, 중국 홍콩, 일본, 한국, 핀란드의 학생들도 아주 총명하였다. 이 밖에, 만약 TIMSS와 PIRLS의 점수를 합하면 (최신수치는 2011년 것) 아마도 싱가포르가 가장 높고, 다음은 중국 홍콩, 중국 타이베이, 핀란드 순이다.
當然了,單人的測試結果不是最重要的。專家將國際測試結果的差異性歸結為對待學校教育的文化態度不同。同時,並沒有任何一個國際體系覆蓋了世界上100%的學校兒童——不幸的是,即便在接受調查的國家中,也並非所有兒童都能夠上學。而即便我們信任“一般因素”,世界各地的教育體系也差異巨大。
물론 한 개인의 텍스트 결과는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국제적인 테스트결과의 차이성은 학교교육의 문화태도에 대한 부동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 동시에 그 어떤 국제적체계도 세계 학교학생들을 100%로 다 포함하지 못한다고 지적하였다. 설사 조사를 받은 나라라 할지라도 모든 학생들이 다 학교에 다닐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가 '일반적 요소'를 믿는다 해도 세계 각지의 교육체계는 차이가 많기 때문이다. (번역/실습생 리은혜)
뉴스 번역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