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學生就業藍皮書:任職政府機構滿意度最高
대학생 취업 청서:정부기관에 재직 시 만족도 가장 높아

(자료 사진)
12日在北京發布的《就業藍皮書》調查顯示,2015屆大學畢業生的就業滿意度為62%,畢業生在“政府機構/科研或其他事業單位”的就業滿意度最高,在“民營企業/個體”的就業滿意度最低。
12일 베이징에서 발표한 <<취업청서>>의 조사에 의하면 2015년 대학교 졸업생의 취업 만족도는 62%, 그중 "정부기구/과학 연구 및 기타 회사"에 취직한 대학생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민간업체/자영업"의 취업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這份報告由麥可思研究院撰寫發布,報告基於對2015屆大學生畢業半年後培養質量的跟蹤評價,調查在全國回收的總樣本約25.0萬,其中本科生樣本約12.3萬,高職高專生樣本約12.7萬,覆蓋了全國30個省份。
이 보고서는 마이코스(mycos) 연구소에서 작성 및 발표한 것으로, 2015기 대학생들의 졸업 반년후의 양성 질에 대한 추적 평가를 기초로 전국에서 회수한 총 25.0만 견본을 조사했다. 그중 본과생 견본이 약 12.3만이고 전문대생 견본이 약 12.7만이며 전국 30개 성을 망라했다.
這份報告的調查問卷顯示,2015屆中國大學畢業生畢業半年後的就業率為91.7%,其中,本科院校2015屆畢業生半年後的就業率為92.2%;高職高專為91.2%。2015屆大學生畢業半年後的就業率(91.7%)與2014屆(92.1%)和2013屆(91.4%)基本持平。
이 보고서 작성과정에 추진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2015기 중국 대학 졸업생의 졸업 반년후의 취업률은 91.7%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본과학부의 2015기 졸업생의 반년후 취업률은 92.2%, 전문대 졸업생은 91.2%인 것으로 집계됐다. 2015기 대학 졸업생의 반년후 취업률(91.7%)은 2014기(92.1%), 2013기(91.4%)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從就業滿意度來看,2015屆大學畢業生的就業滿意度為62%。其中,本科院校2015屆畢業生的就業滿意度為63%,高職高專院校2015屆畢業生的就業滿意度為61%。
취업 만족도로부터 보면 2015기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 만족도는 62%고 그중 본과 학부의 2015기 졸업생의 취업만족도가 63%, 전문대 2015기 졸업생의 취업만족도가 61%인 것으로 집계됐다.
從學科門類來看,2015屆本科學科門類中,畢業生畢業半年後就業滿意度最高的為教育學(67%),就業滿意度最低的為歷史學(60%)。2015屆高職高專專業大類中,就業滿意度最高的為文化教育大類(64%)、醫藥衞生大類(64%)和農林漁牧大類(64%),最低的為資源開發與測繪大類(53%)。
학과분야로부터 보면 2015기 본과학과분야중 졸업생들의 반년후 취업만족도가 가장 높은분야는 교육학(67%), 가장 낮은 분야는 역사학(60%)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5기 전문대전공분야중 문화교육류(64%), 의약위생류(64%)와 농림어업목축업류(64%)의 취업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자원개발과 측량제도분야(53%)가 가장 낮았다.
此外,2015屆本科畢業生半年後就業滿意度最高的職業是“游戲策劃”和“稅務專員”(均為82%),最低的職業是“收銀員”(41%)。2015屆高職高專畢業生半年後就業滿意度最高的職業是“銀行櫃員”(80%),最低的職業是“手工包裝工”(35%)。
이외에 2015기 본과 졸업생의 반년후 취업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게임 기획”과 “세무요원”(모두 82%)이였고 가장 낮은 직업은 “수납계원”(41%)이였다. 2015기 전문대 졸업생의 반년후 취업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은행직원”(80%)이였고 가장 낮은 직업은 “수공포장공”(35%)이였다.
這份報告還顯示,2015屆大學畢業生,畢業半年後在“政府機構/科研或其他事業單位”的就業滿意度最高(本科為72%,高職高專為70%),在“民營企業/個體”的就業滿意度最低(本科為59%,高職高專為58%)。
또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5기 대학 졸업생이 졸업 반년후 "정부기구/과학연구 및 기타 사업단위"에서 근무하는 경우의 취업만족도가 가장 높았고(본과 72%, 전문대 70%), "민간업체/자영업"에서 근무하는 경우의 취업만족도가 가장 낮았다(본과59%, 전문대 58%).
중국어 뉴스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