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華網韓國語 >>기사 본문
中國今年資本凈輸出額很可能擴大 |
中 올해 자본 순수출액 확대될 수도 |

(자료 사진)
|
2014年首次成為資本凈輸出國的中國,2015年資本凈輸出額很可能會進一步擴大。 分析人士説,“一帶一路”、亞投行、絲路基金、金磚銀行等一系列新倡議、新機制産生“協同效應”,將為中國今年資本凈輸出額進一步擴大注入新動力。 據統計,2014年中國對外投資規模約1400億美元,比吸引外國投資規模高出約200億美元。中國這一世界最大發展中國家,首次成為資本凈輸出國。 今年以來中國對外投資增長勢頭有增無減。1至4月,中國境內投資者累計實現非金融類對外投資349.7億美元,同比增長36.1%。截至4月底,中國累計非金融類對外直接投資6813億美元。 中國吸收外資同期保持增長態勢,但增速維持在10%左右。由於增速存在明顯落差,中國今年資本凈輸出額有望進一步擴大。 分析人士指出,充足的外匯儲備、強大的綜合實力和高速成長的跨國企業,以及布局全球的宏觀政策,將支撐中國從投資大國向投資強國轉變。 畢馬威近日發布的報告認為,中國的對外投資已進入“新常態”,即繼續在目前高水平上保持平穩增長,並會有更多企業尤其是民企對更多行業及國家進行投資,對象都是一些能夠讓中國企業向價值鏈高端進發、提高核心競爭力的項目。 上海綠地集團進入韓國、美國、澳大利亞以及英國等國的房地産市場,光明、伊利、蒙牛等乳業巨頭的跨國並購落子新西蘭、澳大利亞……不少人已注意到,近年來中國的投資對象不只局限於非洲、大洋洲地區的自然資源,歐美國家的成熟品牌同樣對中國投資者頗具吸引力。 2014年,中國投資者足跡遍佈全球156個國家和地區。中國公司能源礦産類並購交易金融所佔比重由2010年的61%下降到16%,而科技、媒體和通信行業的比重則有6%增長到21%;農業、地産相關類行業也成為交易熱點。 中國商務部數據顯示,僅今年頭兩個月,中國內地對歐盟投資33.6億美元,是去年同期的10.5倍。 對外經貿大學教授盧進勇指出,中國已成為世界投資大國,但離投資強國還有一段距離。目前,中國跨國企業數量偏少,企業自主技術、自有專利不多,企業大部分位於國際分工的底端,對國際投資規則制定缺乏話語權……這些因素都制約着中國成為頂級的“世界投資人”。 他認為,未來中國在對外投資方面,應將對外貿易布局和海外資源戰略相結合;加快構建中國企業主導的國際生産經營網絡;推動企業自主品牌建設;履行境外企業社會責任,造福所在國居民;加強信息溝通和法律諮詢,防範境外投資風險。
|
2014년 처음으로 자본 순수출국에 진입한 중국이 2015년 자본 순수출액이 진일보로 확대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있다. 분석인사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일대일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실크로드기금, 브릭스은행 등 계열의 새 제안, 새 메커니즘이 “시너지효과”를 산생함과 더불어 올해 중국의 자본 순수출액의 진일보 확대에 새로운 동력을 주입할 것이다. 통계에 의하면 2014년 중국 대외투자규모는 1400억 달러에 달했고 이는 흡인되는 외국투자규모에 비해 약 200억 달러 높은 수준이다. 세계 최대의 발전도상국인 중국은 처음으로 자본 순수출국에 진입했다. 올해에 들어서 중국의 대외투자 성장추세는 증가 일로에 있다. 1월부터 4월까지, 중국 경내 투자자에 대해 합계해보면 비금융류 대외투자가 349.7억 달러를 실현했고 이는 지난해 동기대비 36.1% 성장한 수치다. 4월말에 이르기까지, 중국 비금융류 대외직접투자는 6813억 달러로 집계됐다. 중국의 외자흡인은 동기 대비 성장추세에 있으나 증속은 10% 좌우를 유지했다. 증속에 선명한 격차가 존재하므로 올해 중국의 자본 순수출액은 진일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분석인사들은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충족한 외화비축, 강대한 종합실력과 고속성장하는 다국적기업, 및 전 세계에 분포된 거시적 정책들은 중국이 기존의 투자대국으로부터 투자강국에로 전환함에 있어서의 버팀목이 될 것이다. KPMG(산둥회계법인)이 최근에 발표한 보고에 따르면 중국의 대외투자는 이미 “신상태(新常態)”에 들어섰고 현재의 고수준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할 것이라 한다. 또한 더 많은 기업들, 특히는 민영기업들에서 보다 많은 업종 및 국가들에 대해 투자를 진행할 것이고 그 상대는 모두 중국기업으로 하여금 보다 높은 가치체인을 향해 전진하고 핵심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힘을 실어줄 수 있는 항목으로 선택될 것이다. 상하이 녹지그룹(綠地集團)은 한국, 미국, 오스트랄리아 및 영국 등 국가의 부동산시장에로 진입했고 광밍(光明), 이리(伊利), 멍뉴(蒙牛) 등 유업(乳業) 거두들은 다국적 인수합병을 거쳐 뉴질랜드, 오스트랄리아 등에로 발을 내디뎠다…… 몇년간 중국의 투자대상은 단지 아프리카주, 대양주 지역의 자연자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유럽과 아메리카 국가의 성숙한 브랜드들 역시 중국투자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음을 적지않은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2014년, 중국 투자자들의 발자취는 전 세계 156개 국가 및 지역에 남겨졌다. 중국회사 에너지광산류 인수합병 거래금융 비중은 2010년의 61%로부터 16%로 하락했다. 그러나 과학기술, 매스미디어와 통신업종의 비중은 기존의 6%로부터 21%로 향상됐다. 농업, 토지자산 관련업종도 거래열점으로 부상했다. 중국 상무부에서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 2월에만 해도 중국 내지에서 유럽연합에 투자한 금액은 33.6억 달러로 이는 지난해 동기대비 10.5배를 기록한 수준이다. 루진융(盧進勇) 대외경제무역대학 교수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중국은 이미 세계 투자대국이 되었지만 투자강국이 되려면 아직도 거리가 존재한다. 현재 중국의 다국적기업은 그 수량이 적은 편이고 기업의 자주기술, 자유(自有)특허는 많지 않으며 기업 대부분이 국제분공의 말단에 위치해있고 국제투자의 원칙제정에 발언권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요소들은 중국이 최고급 “세계투자자”가 되는 것을 제약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미래의 중국은 대외투자면에서 대외무역국면과 해외투자전략을 상호 결합하고, 중국기업을 주도로 하는 국제적 생산경영시스템을 구축하며, 기업의 자주브랜드에 대한 건설을 추동하고, 해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함으로써 본국에 살고있는 국민들이 복된 삶을 누리게 하며, 정보교류와 법률자문을 강화해 해외 투자위험에 대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