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華網韓國語 >>기사 본문

日本輿論敦促“安倍談話”明確寫入“侵略”“道歉”等關鍵詞

日 언론 “아베담화”에 “침략” 등 키워드를 분명히 기입할 것 촉구

(자료 사진)

    日本首相安倍晉三預計在8月14日以內閣決議的方式發表戰後70周年談話,日本媒體7日紛紛敦促安倍在這一談話中明確寫入“侵略”、“道歉”等關鍵詞。

    《讀賣新聞》發表社論説,報告書明確了日本所發動戰爭的侵略性質,安倍也應該在談話中明確寫入“侵略”。安倍過去聲稱“侵略定義未定”曾引起爭議,如果不在談話中寫入“侵略”,外界會認為安倍至今不願承認“侵略”事實,這將動搖國際社會對日本的信任感,損害日本國家利益。

    社論還指出,“安倍談話”應對日本過去的戰爭行為&&反省和道歉,否則會給外界留下“日本不知反省”的印象。

    日本前首相中曾根康弘7日在《讀賣新聞》刊文指出,日本在亞洲的戰爭性質就是侵略,日本發動了一場錯誤的戰爭。如果不能正視這段負面歷史,日本就無法得到近鄰國家的信任。中曾根強調,日本最優先的國家利益應該是構建與亞洲鄰國的信賴關係。

  《朝日新聞》在社論中指出,安倍宣稱將整體繼承包括“村山談話”在內的歷屆內閣立場,但“安倍談話”不應流於空洞,應該用具體的語言來明確“繼承”。社論敦促安倍在談話中體諒近鄰國家的戰爭受害者心情,並且明確釋放化解日本與中韓關係僵局的和解信息。

    《東京新聞》發表社論説,“村山談話”對日本與國際社會的和解發揮了很大作用,安倍也應在談話中明確寫入“侵略”、“殖民統治”、“反省”和“道歉”。如果“安倍談話”不寫入這些歷史認識的根本,不如放棄發表談話。

    社論強調,日本面向未來的起點應該建立在對過去侵略和殖民歷史的痛切反省上,否則將給未來日本留下歷史禍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8월 14일, 내각결의 방식으로 전후 70주년 담화를 발표하게 된다. 일본 언론에서는 7일, 아베가 이 담화에 “침략”, “사죄” 등 키워드를 분명히 기입해줄 것을 촉구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사설을 발표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서 일본이 발동한 전쟁의 침략성질을 분명히 한만큼 아베 역시 담화에 “침략”을 분명히 기입해야 한다. 아베는 과거 “침략의 정의가 확정되지 않았다”고 발언해 논란을 불러일으킨 적이 있다. 담화에 “침략”을 기입하지 않는다면 외부에서는 아베가 오늘날까지도 “침략”의 사실을 승인하려 하지 않는다고 인식할 것이며 이는 국제사회가 일본에 대한 신뢰감을 흔들고 일본의 국가 이익에 손해를 줄 것이다.

   사설에서는 또 “아베담화”는 일본의 과거 전쟁행위에 반성과 사죄를 표해야 하며 그러지 아니할 경우 외부에 “일본은 반성을 모른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전 총리는 7일, 《요미우리 신문》에 글을 발표해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일본이 아시아에서의 전쟁 성질은 침략이며 일본은 잘못된 전쟁을 발동했다. 만일 이 부정적인 역사를 직시하지 않는다면 일본은 이웃나라의 신뢰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나카소네는 또 일본의 가장 우선된 국가이익은 아시아 이웃나라와의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사히 신문》은 사설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아베는 총체적으로 “무라야마 담화”를 포함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계승할 것이라고 선포했다. 그러나 “아베담화”는 공허함뿐이 아닌 구체적인 언어로 “계승”을 분명히 해야 한다. 사설에서는 또 아베가 담화에서 이웃 나라 전쟁 피해자들의 심리를 이해하고 일본과 중한 관계의 교착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화해 정보를 분명히 방출해줄 것을 촉구했다.

   《도쿄신문》에서는 사설을 발표해 “무라야마 담화”는 일본과 국제사회의 화해를 위해 큰 역할을 발휘했다면서 아베 역시 담화에 “침략”, “식민통치”, “반성”과 “사죄” 를 분명하게 기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만일 “아베담화”에 이런 역사 인식의 근본이 기입되지 않는다면 담화발표를 포기하는 편이 더 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에서는 일본이 미래를 향한 시작점은 과거의 침략과 식민 역사에 대한 통절한 반성 위에 건립되어야 하며 그러지 아니할 경우 미래의 일본에 역사적 화근을 남겨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번역/신화망 한국어판)

 

출처: 신화망 한국어판 | 2015-08-10 10:39:23 | 편집: 왕범

01002007135000000000000001110350134499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