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華網韓國語 >>기사 본문

多維視角看中國經濟“新陳代謝”

다차원적인 시각에서 중국 경제의 “신진대사”를 바라본다

(자료 사진)

    過去一年來,中國經濟面臨持續下行壓力,經濟增長由高速轉為中高速。對此,外界從最初的觀望、質疑乃至唱衰,逐步轉變為接納、理解並有了新的認識。

    不少受訪專家指出,中國正通過尋找新的增長點,重塑“新合力”,優化中國經濟的“新陳代謝”,引領中國經濟朝着更健康的方向發展。

    産業調整 轉型升級

    2014年中國國內生産總值(GDP)增速為7.4%,和前幾年的增速相比確實有所回落。但2014年中國GDP總量已達到10.4萬億美元,這一年中國經濟的增量接近7700億美元,已超過上世紀90年代中國一年的GDP總量。

    第三産業佔比往往被看作經濟現代化的重要標誌。發達國家第三産業佔比普遍達到70%以上,而中國正在不斷接近這一數字。

    今年第一季度經濟數據顯示,服務業在GDP中的比重進一步提高到51.6%,顯示出中國經濟結構正由工業主導向服務型主導轉型。

    悉尼科技大學澳大利亞-中國關係研究院副院長詹姆斯·勞倫斯森指出,服務業的興起意味着更多的就業和更少的污染,進一步城鎮化則意味着更高的生活水平。如果綜合考慮這些因素,中國經濟在中長期的前景十分看好。

    增長動力 內需為上

    阿根廷“管理和適應”諮詢公司首席經濟學家卡魯加蒂説,短期來看,中國的挑戰是增強經濟發展動力;中期來看,中國的挑戰仍然是如何實現從出口驅動向內需驅動轉變。

    最新數據顯示,今年5月份中國消費需求總體平穩,較好地發揮了經濟增長穩定器的作用。

    在目前經濟增速放緩的情況下,發展基礎設施領域建設無疑可提振內需。但這裡所指的基礎設施不僅包括高速公路、鐵路、水電站等硬體,還包含國內缺乏的軟體方面基礎設施,比如環境污染治理、民生工程改建及養老等基礎設施,這一舉措既提振了需求,又能彌補民生和軟環境建設方面的不足。

    科技創新 大眾創業

    在經濟總量增長的同時,中國經濟的科技含量也在快速提高,高科技産業日益成為主要動力。

    中國政府一直非常重視創新,視其為經濟增長活力源泉,並為此不斷推進各領域改革,破除阻礙經濟發展的各類體制機制障礙,進一步激發市場活力。

    創新的內涵也不再僅局限於技術創新,而是逐步擴展至配套創新、集成創新以及制度創新等等。

    日本富士通總研經濟研究所高級研究員趙瑋琳説,如今中國經濟具有非凡的活力。現在的年輕人創新意識十分強,他們在相對富裕的成長環境中長大,對未來的基本生活並不擔心,而且有實現自身理想的意願。當就業並不是為了滿足最基本生活需求時,這些年輕人畢業後並不急於尋求一份安穩的工作,而是想落實自己的新想法和新點子,有着和以前不一樣的創業動機,這是目前中國經濟正在發生的巨大變化之一。

   지난 1년간 중국 경제가 지속적인 하행 압력에 직면했고 경제 성장이 고속에서 중고속으로 전환됐다. 이에 대해 외부는 최초의 관망, 질의 나아가 쇠퇴론 조장에서부터 점차 인정, 이해로 전환됐고 새로운 인식이 나타나기도 했다.

   인터뷰에 응한 적지 않은 전문가들이 중국이 현재 새로운 성장 포인트를 찾아내는 것을 통해 “새로운 합력”을 재구성하고 있으며 중국경제의 “신진대사”를 최적화하는 것으로 중국 경제가 보다 건전한 방향을 향해 발전할 수 있게 이끌어 나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 구조조정, 체제전환과 업그레이드

   2014년 중국의 국내총생산액(GDP) 증속은 7.4%에 달했으며 지난 몇년 간의 증속과 비교할 경우 다소 하락한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2014년 중국 GDP 총량은 이미 10.4조달러에 달했고 한해동안 중국 경제의 증량은 7700억달러에 육박했으며 이미 지난 세기 90년대 중국의 연간 GDP 총량을 넘어섰다.

   제3산업 점유율은 흔히 경제 현대와의 중요한 표시로 간주되고 있다. 선진국의 제3산업 점유율은 보통 70% 이상에 달하며 중국도 끊임없이 이 수치에 접근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경제 데이터에 따르면 서비스업이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1.6%로 진일보 향상됐으며 중국의 경제구조가 공업주도형에서 서비스주도형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제임스 라오런세선(James Laurenceson) 시드니과학기술대학 호주-중국관계연구원 부원장은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서비스업의 흥기는 더 많은 취업과 더 적은 오염을 의미하고 진일보적 도시화는 더 높은 생활수준을 의미한다. 만일 이런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중국 경제의 중장기 전망은 아주 밝다.

   성장 동력 찾는 데 상책은 내수

   카루가티 아르헨티나 “관리와 적응” 컨설팅회사 수석 경제학자는 단기적으로 보면 중국의 도전은 경제발전의 동력을 보강하는 것이며 중기적으로 보면 중국의 도전은 여전히 수출 구동에서 내수 구동으로 어떻게 전환할지에 있다고 지적했다.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5월분 중국의 소비수요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이었으며 경제 성장 안정화 장치의 역할을 비교적 잘 발휘했다.

   현재 경제증속이 완화된 상황에서 인프라 영역 건설을 발전시키는 것은 내수를 진작시킬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인프라는 고속철도, 철도, 수력발전소 등 하드웨어만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 부족한 소프트웨어 부분의 인프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환경오염 단속, 민생 공정 개조 및 양로 등 인프라가 그러하다. 이 조치는 수요를 진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생과 연성환경 건설 부분의 부족점을 채워줄 수 있다.

   과학기술 혁신, 대중 창업

   경제총량이 성장함과 동시에 중국 경제의 과학기술 함량 역시 신속하게 향상되고 있으며 고신기술 산업이 날따라 주요한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 정부에서는 시종일관 혁신을 중시해 왔고 이를 경제성장 활력의 원천으로 간주해 왔으며 이를 위해 각 영역 개혁을 추진해 왔다. 경제 발전을 저애하는 각 종 체제, 메커니즘 장애를 제거하고 시장 활력을 진일보 불러일으키는 데 힘을 기울이고 있다.

   혁신의 의미는 더이상 기술 혁신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부대 혁신, 통합 혁신 및 제도 혁신 등등에로 점차 확장되고 있다.

   자오웨이린(趙瑋琳) 일본 후지스 종합연구소 고급 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오늘날 중국 경제는 비범한 활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금의 젊은이들은 혁신 의식이 아주 강하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부유한 성장 환경에서 성장했고 미래의 기본생활에 대한 근심이 없으며 스스로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념원을 갖고 있다. 취업이 더이상 가장 기본적인 생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가 아닌 것이 된다면 이 젊은이들은 졸업 후 안정된 일자리를 찾는데 급급하지 않을 것이며 나만의 새로운 생각,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려 할 것이다. 이렇게 기존과는 다른 창업 동기를 갖고 있는 것이 현재 중국경제에 발생하고 있는 거대한 변화중의 한가지다.(번역/ 신화망 한국어판)

출처: 신화망 한국어판 | 2015-06-26 11:59:24 | 편집: 전명

010020071350000000000000011103461343581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