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華網韓國語 >>기사 본문

中國教育援藏新模式:藏族孩子家門口建內地西藏班

中 교육 시짱 지원 새 패턴:장족 아이들 집 앞에 ‘내지의 시짱반’ 개설

    30年前,中國在上海等省市開辦內地西藏班,一大批西藏學生為了接受好的教育而背井離鄉。如今,不少西藏學生不再從小遠離父母,在家門口就能享受和內地西藏班一樣的優質教學。

    由北京、江蘇分別投資2億多元援建的拉薩北京實驗中學和拉薩江蘇實驗中學,自去年下半年投入使用以來,被西藏人稱為“家門口的內地西藏班”——學校分別從北京、江蘇選派優秀的管理團隊和優秀教師,讓西藏學生在家門口享受和內地學生同等的優質教育。

    為幫助教學資源相對不足的西藏培養人才,國家採取異地辦學的方式,在內地省份開辦西藏班,為藏族孩子提供免費教育。1985年,以藏族為主體的第一批西藏小學畢業生到內地學習。目前,至少有21個省市31所中學辦有西藏班,累計為西藏培養輸送各類中專以上人才3萬餘人,但錄取率僅約為10%,遠遠滿足不了西藏學生的需求。

    拉薩北京實驗中學和拉薩江蘇實驗中學正是為解決這一問題而實施的教育援藏新模式,僅拉薩江蘇實驗中學就有在校學生2350名,90%以上是藏族學生。

    拉薩市副市長計明南加説:“優質的教育資源搬到西藏,讓更多的西藏學生在家門口享受到先進的教育,在拉薩教育史上具有重大意義,必將加快西藏教育的發展。”(張京品、陳菲、許晟)

   30년 전 중국 상하이(上海) 등 성, 시에서 내지 시짱(西藏)반을 개설하기 시작했고 대량의 시짱학생들이 보다 나은 교육을 받기 위해 부득이하게 고향을 떠나야만 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적지않은 시짱 학생들이 더이상 부모와 멀리 떨어져 지낼 필요없이 집 앞에서 바로 내지 시짱반와 같은 질 좋은 교육을 향수하게 됐다.

   베이징(北京), 장쑤(江蘇)에서 각각 2억여위안을 투자해 건설한 라싸(拉薩)베이징실험중학교와 라싸장쑤실험중학교는 지난해 하반기에 개강해서부터 시짱 사람들로부터 “집 앞에 있는 내지 시짱반”으로 불렸다. 이 두 학교에서는 베이징, 장쑤에서 우수한 관리팀과 교원들을 선발, 파견해 시짱 학생들이 집 앞에서 내지 학생과 동등한 질 좋은 교육을 향수할 수 있게 했다.

   교학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시짱을 도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나라에서는 타지에 학교를 세우는 방법을 취해 내지 성에 시짱반을 개설하고 장족 아이들을 상대로 무료교육을 제공해왔다. 1985년, 장족(藏族)을 주체로 하는 첫패 시짱 초등학교 졸업생들이 내지를 찾아 공부하기 시작했다. 현재 최소 21개 성, 시의 31개 중학교에 시짱반이 개설되었고 시짱에 연인수로 3만명 이상에 달하는 중등전문학교 이상 학력 인재를 반송했다. 그러나 녹취율은 10%에 불과해 시짱 학생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였다.

   라싸베이징실험중학교와 라싸장쑤실험중학교는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행된 새로운 시짱 교육 지원 패턴이다. 라싸장쑤실험중학에만 재학생이 2350명에 달하며 90% 이상이 장족 학생이다.

   지밍난쟈(計明南加) 라싸시 부시장은 “우질의 교육자원이 시짱에 옮겨지면서 더 많은 시짱 학생들이 집 앞에서 선진적인 교육을 향수할 수 있게 됐다. 이는 라싸의 교육역사를 놓고보아도 그 의의가 중대하며 반드시 시짱 교육의 발전을 촉진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글/신화사 기자 장징핀(張京品) 천페이(陳菲) 쉬성(許晟), 번역/신화망 한국어판]

출처: 신화망 한국어판 | 2015-03-30 13:36:53 | 편집: 왕범

010020071350000000000000011103501341095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