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華網韓國語 >>기사 본문

遼寧欲搶抓中韓自貿區頭道商機

中랴오닝, 중한자유무역구의 첫번째 사업 기회 서둘러 틀어쥘 듯

(자료 사진)

  每週,都有數以百計的集裝箱從德國坐火車橫穿歐亞大陸,將汽車配件運到中國東北,分送至瀋陽華晨寶馬汽車公司和長春一汽大眾公司,平均每週2.5列,高峰時可達每週5列。

  裝運汽車配件的集裝箱拆空後,運至遼寧營口港,船運到隔海相望的韓國裝載電子産品,再通過班輪返回營口港,經鐵路到滿洲裏再運往歐洲,如此往復不息。

  “來自韓國過境的貨源佔比達到了近四成。”全國人大代表、營口港務集團董事長高寶玉説,這條線路運輸成本低、時間短,已成為一條重要的亞歐陸海大通道。

  遼寧臨近韓國,港口密集,發展物流業有着良好的比較優勢。而年內有望簽署的中韓自貿協定,將為遼寧帶來新機遇。

  中韓自貿區啟動後,雙方的貿易壁壘將逐步消除,雙方優勢産品將進入彼此市場。這對中國傳統産業和産品將造成衝擊,遼寧作為裝備製造業大省也將受到影響。

    中韓自貿協定簽署還將使兩國投資更加便利。全國人大代表、營口市市長葛樂夫説,東北要利用好區位、交通、合作傳統等優勢,創造良好投資環境,吸引更多的韓國企業來遼寧落戶,打造韓國商品加工基地。他建議,國家宜&&政策,支持營口在中韓自由貿易協定的過渡期內,先行先試,使營口成為中韓自由貿易的示範區。

   매주 수백개 컨테이너가 독일에서 기차를 타고 유라시아대륙을 가로 질러 자동차 부품을 중국 동북으로 운송하며 선양화천(沈陽華辰)BMW자동차회사와 창춘(長春)제일자동차 폭스바겐 회사로 나누어 보내고 있다. 이 운송열차는 매주 평균 2.5번 달리며 고봉기에는 매주 5번 달린다.

   자동차 부품을 운송하는 컨테이너는 물품을 비운 뒤 랴오닝(遼寧) 잉커우(營口)항으로 운반되어 배로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는 한국에 옮겨져 전자 제품을 실은 뒤 정기선을 이용해 잉커우항에 반송된다. 다시 철도를 통해 만저우리(滿洲裏)에서 유럽으로 운송되며 이런 과정이 끊임없이 중복된다.

   “한국에서 발송되는 중계화물 비율이 40%를 차지한다.”가오바오위(高寶玉)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잉커우 항무그룹 회장은 이같이 말하면서 이 운수라인은 원가가 낮고 시간이 짧아 이미 중요한 유라시아 육해 대 통로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랴오닝은 한국과 근접해 있으며 항구가 밀집되어 물류업을 발전시킴에 있어서 양호한 비교우세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연내에 중한자유무역협정 체결이 희망적으로 다가오면서 랴오닝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한자유무역구가 가동된 후 쌍방 사이의 무역 장벽이 점차 제거될 것이며 쌍방의 우세 제품이 서로의 시장에로 진입할 것이다. 이는 중국의 전통 산업과 제품에 충격을 조성할 것이며 랴오닝 역시 장비제조업 대성으로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한자유무역협정의 체결은 또 양국 사이 투자에 더 큰 편리를 줄 것이다. 거러푸(葛樂夫)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잉커우시 시장은 동북에서 구역, 교통, 협력 전통 등 우세를 잘 이용해 양호한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더 많은 한국기업이 랴오닝을 찾아 정착할 수 있도록 유치하며 한국 상품 가공 기지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나라에서 정책을 출범해 중한자유무역협정의 과도기에 잉커우시에서 선행선시(先行先試)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중한자유무역무역의 시범구가 될 수 있도록 지지할 것을 제안했다.

출처: 신화망 한국어판 | 2015-03-10 16:17:56 | 편집: 전명

010020071350000000000000011103461340550351